2025년 9월 5~6일 2일간 진행했던 Amazon Q Developer 헤커톤의 후기와 해당 경험을 바탕으로 느낀 점과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해 작성해보려고 한다.헤커톤 후기AWS와 메가존 클라우드의 후원으로 진행된 이번 헤커톤은 AWS의 Q Developer를 이용한 바이브 코딩으로 서비스를 개발하는 과정이었다. 9월 5일은 온라인으로 9월 6일은 센터필드 AWS에서 진행했던 행사로 나는 크래프톤 정글 8기 동기들과 함께 5인 팀을 구성했다. 현재 다들 취업 준비를 열심히 하고 있고 나 또한 면접이나 코테 준비 등으로 바쁜 와중에 진행되었던 헤커톤이어서 그런지 우리 팀은 사전에 주제도 심도 있게 논의하지 않았다. 금요일 시작하자 말자 생각나는 주제를 선정했다. 우리는 일단 이 헤커톤이 그렇게 많은..
프로세스 API는 운영체제(OS)가 애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로, 사용자 프로그램이 운영체제의 다양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시스템 호출이다. 이는 프로세스의 생성, 종료, 정지, 제개와 같은 기본적인 관리 작업뿐만 아니라, 프로세스 상태 정보 제공, 메모리 할당, 파일 접근 등 가상 머신 관련 기능을 요청하는데 필수적이다. 또한, 프로세스 API는 프로세스뿐만 아니라 모듈(실행 파일 또는 DLL)과 드라이버에 대한 정보 조회 및 메모리 사용량 데이터 수집과 같은 고급 기능도 지원한다.이 중 fork(), wait(), exec()는 프로세스의 생성, 실행, 대기 및 종료를 다루는 데 필수적인 API 이다.fork() 시스템 콜fork() 시스템 콜은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부모 프로세..
프로세스(Process)는 운영체제의 핵심 개념 중 하나이다. 프로세스는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프로그램 자체는 디스크에 저장된 명령어와 데이터의 집합이다. 운영체제는 이 명령어와 데이터를 실행하여 프로그램을 작동시킨다.사용자는 여러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하기를 원한다.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 이메일 ,게임, 음악 플레이어 등을 동시에 실행하는 것이다. 운영체제는 실제로 한정된 CPU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러 개의 프로세스가 동시에 실행되는 것처럼 만드는 기술, 즉 CPU 가상화를 통해 이를 가능케 한다. 이러한 환상을 만들기 위해, 운영체제는 시분할(time sharing) 방식을 사용하여 한 프로세스를 잠시 실행한 후 다른 프로세스로 전환하는 작업을 반복한다. 이 과정을 통해, ..
운영체제 아주 쉬운 세 가지 이야기 - OSTEP를 읽고 정리하는 스터디를 하게 되었다. 크래프톤 정글 8기 307반 동기들과 함께하는 스터디 시작한다.운영체제 개요프로그램을 쉽게 실행하고, 프로그램 간의 메모리 공유를 가능케 하고, 장치와 상호작용을 가능케 하고, 다양한 흥미로운 일을 할 수 있게 하는 소프트웨어가 있다. 시스템을 사용하기 편리하게 하면서 정확하고 올바르게 동작시킬 책임이 있기 때문에 이 소프트웨어를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라고 부른다.운영체제는 앞에서 언급한 일을 하기 위하여 가상화(Virtualization)라고 불리는 기법을 사용한다. 운영체제는 프로세서, 메모리, 또는 디스크와 같은 물리적(Physical)인 자원을 이용하여 일반적이고, 강력하고, 사용이 ..
7월 31일 부로 크래프톤 정글 8기 과정을 모두 마치고 수료를 했다. 꽤나 시간이 지나 마지막 회고를 작성하고 있다.크래프톤 정글 8기 회고0주 차 때 에세이를 적으며 크래프톤 정글이 끝났을 때 나는 과연 어떤 상태일까를 적어놨었다. 내가 정말 고민하던 것이 부족한 코딩테스트 실력, CS 지식, 프로젝트 경험이었다. 5개월 후에는 더 많고 깊은 CS 지식을 가지는 것과 정말 잘하지는 못하더라도 원하는 기업에 입사 지원을 해 코딩테스트에 통과할 수 있을 수준의 알고리즘 지식과 실력을 가질 수 있었으면 한다. 마지막으로 자주 연락하며 안부도 묻고 같이 프로젝트도 할 수 있는 동료를 만들었으면 한다.https://gowoong.tistory.com/25 크래프톤 정글 8기 에세이크래프톤 정글 8기에 입소하기..
Flutter에서의 BLoC(Business Logic Component)은 애플리케이션의 비즈니스 로직을 UI와 분리하여 유지보수성, 테스트 용이성, 재사용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하는 상태 관리(State Management) 아키텍처 패턴이다.1. BLoC이란 무엇인가?https://bloclibrary.dev/ko/why-bloc/ 왜 Bloc인가?어떤 요소가 Bloc을 견고한 상태 관리 솔루션으로 만드는 지에 대한 개요입니다.bloclibrary.devBLoC (Business Logic Component) 패턴은 Reactive Programming (반응형 프로그래밍)을 기반으로 하며, Dart의 Stream과 Sink를 사용하여 UI와 비즈니스 로직을 분리한다.Input: 사용자의 이벤트 (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