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부분은 우리가 지금 사용하는 컴퓨터가 어떻게 발전해왔는지를 이야기하는 “컴퓨터 역사 이야기”라고 생각하면 된다.
🧠 쉬운 설명으로 각 CPU 살펴보기
🧱 8086: 아주 기본적인 벽돌 컴퓨터
- 8086 (1978년)
→ 첫 번째 16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 계산도 느리고 메모리도 작았다.
→ IBM 컴퓨터에 들어가서 MS-DOS와 함께 사용되었다. - 계산은 느리고 단순함
- 16비트 숫자만 다룸 (0~65,535까지만 가능)
- 요즘 계산기보다 느릴 수 있다.
🚪 80286: 문이 더 생긴 컴퓨터
- 80286 (1982년)
→ 더 많은 주소를 다룰 수 있게 되었으며. 윈도우가 돌아가던 초기 PC에 들어갔다. - 주소 공간을 확장했으며. 더 많은 데이터를 기억 가능했다.
- "보호 모드" 덕분에 프로그램 충돌 방지 가능 (안전한 방)
🛣️ i386: 고속도로가 생긴 컴퓨터
- i386 (1985년)
→ 32비트로 발전, 지금 우리가 자주 쓰는 리눅스, 윈도우 같은 운영체제의 기반이 되었다
→ 훨씬 큰 수, 더 많은 주소 - 여러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게되었다. (멀티태스킹)
🚗 i486: 엔진 튜닝된 자동차
- i486 (1989년)
- 속도 더 빨라졌다.
- 계산기 기능까지 내장이 되었다. (FPU = 실수 계산 가능)
🚅 Pentium: 한 번에 두 명령 처리하는 고속열차
- Pentium (1993년)
- 슈퍼스칼라: 두 가지 계산을 동시에 처리한다
- 더 빠르게 명령 처리할 수 있게되었다. (속도 업!)
🤖 Pentium Pro: 똑똑한 로봇
- PentiumPro (1995년)
- 명령을 순서 없이 가장 빠른 방식으로 처리 (아웃오브오더 실행)
- 복잡한 계산도 똑똑하게 정리한다.
🚀 x86-64: 최신 우주선 CPU
- 64비트로 훨씬 큰 데이터 처리 가능 (어마어마한 메모리!)
- 레지스터도 더 많아졌다. (16개!)
- 현재 우리가 배우는 어셈블리어가 이걸 기반으로 한다
🔍 주요 CPU 진화 비교표
CPU 이름연도비트 수주요 특징사용된 시대/운영체제
CPU 이름 | 연도 | 비트 수 | 주요 특징 | 사용된 시대/운영 체제 |
8086 | 1978 | 16비트 | 첫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본 연산만 가능 | MS-DOS 시대, IBM PC |
80286 | 1982 | 16비트 | 주소 확장 가능. 보호 모드 도입 | 초기 Windows |
80386 (i386) | 1985 | 32비트 | 가상 메모리, 멀티태스킹 가능 | Windows 3.1, Linux 기반 |
80486 (i486) | 1989 | 32비트 | 속도 향상, 부동소수점 연산 통합 | Windows 95 초기 |
Pentium | 1993 | 32비트 | 슈퍼스칼라 구조 (한 번에 여러 명령 처리) | Windows 95/98 |
Pentium Pro | 1995 | 32비트 | 아웃오브오더 실행 (명령 재정렬) | Windows NT, 서버용 |
x86-64 (AMD64) | 2003 | 64비트 | 64비트 주소 처리, 레지스터 확장 | 현재의 리눅스, 윈도우, macOS |
🎯 요약 그림 (진화 흐름)
8086 → 80286 → i386 → i486 → Pentium → Pentium Pro → x86-64
🧱 🚪 🛣️ 🚗 🚅 🤖 🚀
'크래프톤 정글 (컴퓨터 시스템: CSAPP) > 3장 프로그램의 기계수준 표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 시스템 : CSAPP 3장 정리 - 3.4 장 정보 접근하기 Part.3 (0) | 2025.04.05 |
---|---|
컴퓨터 시스템 : CSAPP 3장 정리 - 3.4 장 정보 접근하기 Part.2 (0) | 2025.04.05 |
컴퓨터 시스템 : CSAPP 3장 정리 - 3.4 장 정보 접근하기 Part.1 (0) | 2025.04.05 |
컴퓨터 시스템 : CSAPP 3장 정리 - 3.2장 프로그램의 인코딩 Part. 2 (1) | 2025.04.05 |
컴퓨터 시스템 : CSAPP 3장 정리 - 3.2장 프로그램의 인코딩 Part. 1 (0) | 2025.04.05 |